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2512E745555EAF4E2B)
정상 부근 빼고 주구장창 나무 그늘로만.... 시원한 산행. 모두들 좋아라 하는 숲길 산행.
5 년만에 같은 친구 개인전 오프닝 참석한다는 같은 이유로 다시 대구를 가게 되었다. 간 김에 갈만한 산을 찾다가 결국 다시 금오산. 잘한 결정이었다. 지난번은 12월, 다른 계절의 모습도 궁금했다. 그 사이 정상을 되찾았었다니, 지난 번엔 옹색한 정상에서 뭐야 이건? 했었는데...
지난 번엔 12월 겨울 → 클릭
영등포역에서 새마을호 타고 구미역을 나오면 가끔 오는 금오산 국립공원 종점행 12번 버스를 타던가 택시를 (4,000원가량) 이용한다. 이번엔 좀 서둘러야하기 때문에 택시를 탔다. 버스를 타려면 그냥 정문으로 나가야 한다. 택시는 금오산, 모든 산 방향이라고 써있는 안내판 따라서 나가면 한적한 길. 평일이라 그런지 택시승강장엔 아무도 없다. 불안해서 걸어나가다 탔다. 괜히 그랬다. 그냥 기다리면 오는데. . - 등산로 입구 - 도선굴 - 대혜폭포 - 정상 - 약사암 - 마애석불 - 오형석탑군 지나 같은 길로. 워낙 느린데 오랫만의 산행, 부실해진 걸음으로 지난 번보다 30분 더 걸려 약 5시간 30분. 보통 4시간?
시내로 되돌아가는 버스도 상당히 뜸하게 온다. 지난 번에는 버스 타고 갔다가 내리면서 정류장에 써있는 시간표를 기억했었는데 이번엔 택시 타는 바람에... 다음 버스는 1 시간 이상 기다려야 한다. 주차장 직원에게 택시는 어디서 타요? 물었더니 콜 부르셔야 해요, 하며 번호 알려주신다. 콜비는 천원. 전화하는데 마침 택시가 지나간다. 구미역으로 가주세요. 구미역에서 시간이 안맞아 1시간 넘게 기다려 대구로 갔다. 이럴 줄 알았으면 오형석탑에서 좀 더 있다 올 걸. 다른 검색은 엄청 했는데 놓친 것이 있었다.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233F6146555EAF7213)
지도 크게 보기 = 지도 클릭.
꼭 들려야 할 *도선굴과 * 마애석불 + 오형석탑
대부분 그냥 그냥 가신다.
다른 사람은 어떻게 올랐나 검색해 보니 마애석불 방향으로 정상에 올라
칼다봉 방향으로 내려가는 길이 더 좋았을 것 같다.
시간은 좀 더 걸릴 지 모르겠지만...
*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27135D3E555EABDC2B)
영등포역에서.
오랫만의 산행이다. 3 월에 열었던 개인전 때문에, 요즘은 가정사로.
작년10월 6일 작은 시누님과 함께 갔던 인제군 원대리 자작나무 숲길 이후 7 개월만이다.
2014/10/08 - 원대리 자작나무 숲에서 그네를 타다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2330A43E555EABDD1C)
서울서 가까운 안양 사람이 대구에서 전시하고 그런담? 오고 가기 힘들고
경제사정 차츰 더 어려워져 엄청 구두쇠로 사는데 비용도 많이 들고...
그러나 어쨌거나 오랫만의 여행. 신난다.
늘 하는 말, 매사 일장일단이. 덕분에 좋은 산행을 했고 논밭에서 수고하는 농부님들 보며
예술 합네 잘난척 (겉으론 안하지만 속으론 한다.) 말아야지 반성도 하고.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230F573E555EABE02D)
오른다.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260A613E555EABE133)
가볍게 물 병 하나 들고 가는 사람들이 대부분.
????
대부분 폭포가 목적지였다.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2731663E555EABE31C)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260CFB3E555EABE52E)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250ACB44555EABE733)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211DF543555EBAE41B)
폭포 직전 갈림길이 나오면
반듯이 도선굴은 올라가 봐야한다.
대부분 그냥 가신다.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241D6544555EABE82A)
크게 보기 = 사진 클릭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2634A644555EABE91E)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21479844555EABEB12)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22350F44555EABEC1E)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231CC844555EABEC2B)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26257C44555EABED26)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240F8242555EABEF25)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27047442555EABF02B)
큰 바위 얼굴, 혹은 큰 얼굴 바위.
이름이 있는지 없는지 모른다. 그냥 불러 봤다.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23780645555EB6501D)
5년 전 12월 사진.
도선굴 근처에서 겨울엔 이렇게 장관이 보였는데 나무에 가려 하나도 안보였다.
매사 일장일단. 겨울엔 대혜폭포가 얼어있어 그냥 지나갔었으니.
저 나무계단 구간이 할딱고개란다. 저 구간만 그런 이름으로 불릴 일은 아니다.
숨고를 수 있는 평평한 길이 몇 군데 안되는 제법 힘든 산이다.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21097242555EABF029)
대혜폭포에서 잠시 쉬면서 간식.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27075942555EABF22A)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25273642555EABF618)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24130142555EABF823)
할딱 고개 지나 전망대에서 구경한 다음 주욱 간다.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23584F3D555EABFC05)
지난 번엔 왼쪽으로 시계방향으로 돌았다. 이번엔 반대 방향으로.
둘 다 돌아 본 결과,
칼다봉 쪽으로 가지 않는다면 시계반대 방향으로 돌아서, 보기에 그냥 그런 정상 오른 후
점심은 오형석탑 부근 좋은 전망에서 하면서 시간 많이 보내는 것이 더 좋은 것 같다.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2371653E555EADEB03)
얼마 안되는 금오산성 흔적.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27296A3D555EABFD1C)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27078E3D555EAC0235)
정상으로 먼저 간다. 다시 이곳에 오면 왼쪽으로.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225C2F3D555EAC0403)
사람들 인증샷 찍는다고 난리. 잠시 기다려야 했다.
그들은 세상의 중심이 자기자신인 게지.
오히려 그런 사람들이 행복할 지도 모르지.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2525E83E555EADAA2C)
정상을 되찾은 이야기.
지난 번엔 이 자리엔 오를 수 없었다.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2713CC3D555EAC052B)
전망은 물론 좋지만 정상 부근 풍경은 구조물 때문에 좀 그렇다.
- 사진은 그럴싸하다. 사진은 상당히 진실하지 않다.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2665B743555EAC062A)
오형석탑 있는데서 점심 할 것을. 이 자리에 앉아 식사.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26553A43555EAC0C39)
잠시 내려가면 남아있는 옛 정상석.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27078E3D555EAC0235)
마애석불 방향으로 간다.
대부분 그냥 다시 되돌아 가신다. 이쪽을 꼭 들려야 한다. 금오산은 왜 오르시남.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2370A543555EAC0E26)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237A8C42555EAC1331)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22143845555EAD6121)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210EDA42555EAC1426)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21772942555EAC1532)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2476D042555EAC1732)
부처님 오신 날 앞두고.
산에 다니다 보니 블로그에 사찰 관련 자료가 많이 쌓여간다.
Santiago 길엔 성당 이야기 가득.
이런 일은 기록에 의존하는 학문의 한계에 대해 생각하게 한다.
누가 내 사후에 나를 연구한다면 내 종교에 대해 뭐라고 할까.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231BEF42555EAC181F)
슾길 한 동안 지나면 마애불이 나온다. 두 번째 볼 때는 이런가, 반의 반 크기로 지난 번 보다 훨씬 작아 보인다.
곁에 우거진 나무 때문인가, 호기심이 줄어 있어 그런가.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2317B442555EAC1A22)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27668D46555EB66D23)
전신상은 배터리 오락가락하는 와중에 찍었던 지난 번 사진이 좀 더 낫다.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2143C633555EC2C81C)
다시 숲길 지나 오형석탑군이 있는 자리에서 어떤 아주머니가 반대 쪽 능선을 열심히 찍고 계신다.
뭐 찍으세요? 저~기 석탑이요. 이걸 만든 사람이 한 것 같아요. 아주머니 아니었으면 모르고 그냥 갈 뻔했어요.
감사합니다. 오늘 여기 오느라 구미에 내린다는 걸 김천에 잘못 내렸는데 아주머니 뵐려고 그랬나 봐요.
어디서 오셨어요? 서울서 대구에 볼 일 있어서 들렸어요.
전 대구 살아요. 대구 근처 산보다 금오산이 더 좋아서 자주 와요.
반갑습니다. 바빠서 좀 더 있고 싶지만 먼저 갈게요.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272D9A35555EC31B08)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22208433555EC2CB35)
그 아주머니가 들려준 이야기. 손자를 먼저 떠나보내고 쌓게 되었단다.
유심히 보니 금오산 곳곳에 이 분의 흔적으로 가득했다. 아주머니 못만났으면 모르고 넘어갔을 것이다.
김천을 구미로 잘못 알고 내렸을 때 황당했는데 액땜으로 치자,
좋은 일 있으려고 그랬다고 생각하자했는데 정말 그랬다.
나머지 사진은
↓
2015/05/23 - 구미의 금오산 = 오형석탑 + ㅇ ?
*
정말 아쉬워서 발걸음 떼기 싫었다.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2117A03D555EAC202B)
이 자리에 다시 왔다. 같은 길로 서둘러 되돌아 간다.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2240F63D555EAC2214)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27267E3D555EAC2323)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263DBB3D555EAC2516)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221CC844555EAC5A2D)